2011/12/21(2)
-
안전하지만 속도가 느려터진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비대칭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Bob은 한 쌍의 키를 만듭니다. 그리고 Bob공개키를 어딘가에 공개하죠. 2단계, Jane은 Bob에게 암호화를 해서 문서를 보내고 싶습니다. Bob에게 보내려면 Bob의 공개키를 가지고 옵니다. 3단계, Jane은 Bob의 공개키로 암호화를 수행한 후, Bob에게 암호문을 송신합니다. 4단계, Bob은 자신만이 가진 개인키를 이용해서 받은 문서를 Bob의 개인키로 해독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죠. 누군가에게 암호문을 보내려면 누군가의 공개키가 필요합니다. ^^ 그리고 한 쌍의 키가 존재합니다. 개인키와 공개키 Jane과 같은 사람이 많아지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공개키를 n명만큼 늘리면 되겠죠. 그리고 한번의 송수신에서 개인키, 공개키 한번씩만 사용이..
2011.12.21 -
대칭키 암호화 방식
오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암호화 방식의 하나 하나의 자세한 설명은 후일을 기약하며 여기서는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려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암호화 방식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 것은 앞에서 보셨죠. 대칭키 방식은 또한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 스트림 암호와 블록 암호 스트림 암호 : 하드웨어 구현에 용이하며 다른 암호시스템과 비교할 때 알고리즘 구현속도가 매우 빠르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진 표현된 평문과 이진 의사난수열(Key)을 택한 결과를 암호문으로 출력합니다. 속도는 빠르지만 상당한 비용과 자원이 소모됩니다. (왜냐하면 10비트 암호화 하려면 10번, 1000비트 암호화 하려면 1000번을 연산해야 하니까요~) 블록 암호 ..
201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