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Oracle

[Oracle] Workshop I CHAPTER1장 교재 내용 정리

예영교육 연구소 2011. 4. 13. 12:19

오라클 교재 내용 정리를 합니다.

오라클 WORKSHOP의 가장 첫번째 장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구조

ORACLE INSTANCE +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

 

 

STEP1) 데이터 베이스가 시작되면,

Action1) ORACLE소프트웨어는 SGA(System Global Area)라는 메모리 영역 할당

Action2) ORACLE Background processes를 시작.

 

INSTANCE = SGA + Background processes

 

STEP2) 데이터 베이스를 마운트 한다.

MOUNT란?

instance를 시작한 후 ORACLE소프트웨어는 해당 instance를 특정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

MOUNT가 되면

데이터 베이스가 열릴 준비가 되고 승인된 유저가 엑세스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잠깐?

Memory Structures(메모리 구조) 및 Process(프로세스)의 역할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엑세스한다.

모든 메모리 구조는 컴퓨터의 기본 메모리에 존재하고 프로세스는 이러한 컴퓨터 메모리에서 작동하는 작업.

 

 

 

<오라클 메모리 구조>

위의 그림의 이 부분에 해당되는 설명입니다.

 

 

SGA vs PGA

SGA는 모든 서버 백그라운드에 의해 프로세스가 공유되며, PGA는 각 서버 및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전용(Private) 으로 사용됨. 각 프로세스에 대해 하나의 PGA가 있다.

 

  • SGA

데이터 베이스 버퍼 캐스(Database buffer cache) : DB에서 검색된 데이터 블록을 캐시에 저장

Redo log buffer : instance recovery에 사용되는 리두 정보를 저장

Streams pool : 유저 간의 공유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저장

Large pool : 백업 및 recovery작업이나 I/O서버 프로세스와 같은 어떤 대규모 프로세스에 대한 대용량 메모리 할당을 제공하는 영역

Shared pool : Oracle Streams에서 사용

Java pool : JVM(java virtual machine)내의 모든 세션별 Java코드 및 데이터에 사용

<SGA Parameter>

SGA_TARGET : SGA에 사용할 수 있는 총 공간량을 지정.

만약 SGA_TARGET을 0으로 설정시, 자동 공유 메모리 관리(ASMM:Automatic Shared Memory Management)가 비활성됨.

 

  • PGA(Program Global Area)

    각 서버 프로세스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영역

    • PGA에는 해당 서버 프로세스만 엑세스 가능
    • 서버 프로세스를 대신하는 Oracle코드에 의해서만 PGA 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
    • 각 서버 프로세스당 전용 PGA영역이 있음.

 

 

Process Structures

위의 그림의 여기에 해당되는 설명

 

 

User process : 데이터 베이스 유저가 Oracle서버에 연결을 요청시 시작됨.

Server process : Oracle instance에 연결하는 프로세스, 유저가 세션 설정시 시작됨.

Background processes :Oracle instance가 시작될 때 시작됨.

 

그럼 Instance 의 SGA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그림이 되는군요~

 

위의 내용을 복습 ***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2가지로 구성된다. 바로~

Oracle DB + Oracle Instance

 

그리고 Oracle Instance는 이 두 가지로 구성된다. 무엇일까요?

자안~~ 그림을 보시라.

그렇죠. SGA + Background processes

 

자 그럼 Background processes는

위의 그림의 표시된 것들로 구성되죠.

 

System Monitor(SMON) : failure에 이어 instance가 시작될 때, crash recovery를 수행하죠.

Process Monitor(PMON) : 저는 User process가 실패하면 프로세스 정리를 수행합니다.

Database Writer(DBWn) : 저는 DB Buffer Cache에서 수정된 블록을 디스크 Data files에 저장하죠.

 

Checkpoint(CKPT) : 가장 최근의 Checkpoint를 나타내도록 모든 Datafiles과 Control files를 갱신합니다.

LogWriter(LGWR) : 디스크에 Redo log항목을 기록해요.

Archiver(ARCn) : Log Switche가 발생시, Redo log file를 아카이브 저장 영역으로 복사 얍~

 

 

 

 

 

자 그럼 다음부분에 대해 알아봅시다.

제가 직접 짜 맞춘 그림을 이용해서 보도록 하죠.

 

 

서버 프로세스 및 데이터 베이스 버퍼 캐시

 

<그림 설명>

서버 프로세시는 데이터 파일에서 블록을 읽고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시에 복사본을 배치합니다. Oracle서버는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근에 엑세스하지 않은 버퍼를 삭제하므로 데이터 베이스 버퍼 캐시에 새 블록을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DB buffer cache는 다음의 4가지 상태가 존재합니다.

Pinned : 여러 세션이 동시에 동일한 블록에 쓰지 못하므로, 다른 세션은 해당 블록을 엑세스 하기 위해 대기합니다.

Clean : 버퍼가 핀 고정되어 있지 않음. 현재 데이터 블록이 다시 참조되지 않을 경우 즉시 버퍼가 삭제될 후보입니다.

Free or unused : instance가 방금전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버퍼가 비어 있음. 이 상태는 버퍼가 사용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Clean 상태와 유사

Dirty : Buffer가 더 이상 pinned이지 않지만 데이터 블록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 내용이 삭제되기 전에 DBWn이 디스크로 내용을 비워야 합니다.

 

 

 

그리고 테이블 스페이스 및 데이터 파일에 대해 알아봅시다.

 

  • 테이블 스페이스
    • 테이블 스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로 구성된다.
    • 데이터 파일은 하나의 테이블 스페이스에만 속한다.

     

    SYSTEM및 SYSAUX TABLESPACE

    •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시 만들어지는 TABLESPACE
    • SYSTEM테이블 스페이스는 DATA Dictionary table과 같은 핵심기능에 사용
    • SYSAUX는 보조 테이블 스페이스이다. Enterprise Manager Repository등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구성 요소에 사용된다.

 

  • 논리적 및 물리적 데이터 베이스 구조

 

  • 데이터 베이스에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가 존재한다.
  • 위의 슬라이드에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스페이스 및 데이터 파일 간의 관계가 나타나 있음.

 

스키마 : 데이터 베이스 객체의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