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 Hoc mode

Access Point를 사용하는 Infrastructure 모드 무선 랜을 구성할 때, 두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Ad Hoc모드와 Infrastructure모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nfrastructure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위키에서는 무엇이라고 이야기하는지 정리해 보고 나머지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nfrastructure mode는 IEEE 802.11 무선 Lan의 동작 모드의 하나로서, 각각의 단말의 설치되어 있는 무선 LAN의 아답터가 네트워크을 통괄하는 [Access Point]을 통해 통신을 하고, 단말 서로가 직접 통신을 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또한, Access Point 유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의 확대가 가능합니다. 이 모드는 CSMA/CA방식을 이외에도,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 더보기
Ad Hoc 네트워크, Ad Hoc 모드 무선 랜을 구성하는 모드는 2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바로 Ad Hoc모드와 Infrastructure모드입니다. 이중 Ad Hoc모드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ad hoc'는 [특정 목적의 위해],[한정목적의]등을 말하는 의미의 라틴어의 어구입니다. ad hoc의 ad는 [~에],[~에 대하여], hoc는 haec부터 파생된 [이것],[이것의]을 말하는 의미로서, 영어로는 'for this"에 어울립니다. 유럽에서는 여러가지 의미로 쓰이는 말입니다. (참고로 그림을 그려보았는데 ^^~ 혹시 퍼가시는 분들은 출처를 밝혀 주시면 감사... 고민하고 그리느라 조금 뻘뻘 --!!) 보시는 바와 같이 다른 통신 기반 시설이 필요없이 무선 아답터가 설치된 단말만으로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합니다. 곧 단말이 R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