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4. 15. 01:54ㆍIT/Network_Server
데이터 주소 체계
데이터를 전송시, 인캡슐레이션 과정이 실시되면서 각각의 헤더에는 여러가지 파라메터 값들이 포함된다. 파라메터 값들 중에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주소 체계가 포함된다.
OSI 7계층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다.
이미지 출처 : http://www.flickr.com
포트 번호(Port Number)
- Layer 4계층 주소
- TCP, UDP헤더에 포함된 파라메터 값
- 주소 체계: 16bit
- 주소 범위 : 0~65535 (0~1023까지는 네트워크 서비용으로 미리 예약)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분할 때 사용.
IP주소
- Layer 3계층 주소
- IP 헤더에 포함된 파라메터
- 주소 체계: 32bit
- 주소 범위 : 0 ~ 4,294,967,296
- 로컬 환경에서 리모트 환경으로 최적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주소.
MAC주소
- Layer 2계층 주소
- Ethernet헤더에 포함된 파라메터
- 주소 체계는 48bit (24bit는 OUI-24, 이는 LAN카드 제조 업체가 IEEE기관으로 부터 임대하여 사용하는 예약된 주소. 뒤의 24bit는 LAN 카드 제조 업체에서 중복되지 않게 설정한 주소)
- MAC주소는 장치에 미리 설정된 물리적인 주소이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능하다.
로컬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시 사용하는 주소 체계
- MAC Address를 참조
- 'arp -a'로 확인 가능하다.
==================================
C:\>arp -a
인터페이스: 192.168.1.1 --- 0xb
인터넷 주소 물리적 주소 유형
192.168.1.1 00-50-51-c3-00-08 동적
192.168.1.254 00-51-52-f4-9c-98 동적
==================================
- 스위치의 MAC어드레스 확인
Switch#show mac-address-table
==================================
==================================
리모트 환경으로 데이터 전송시 사용하는 주소 체계
- IP주소를 참조
보통 ARP주소 변환을 실시한 PC1은 기본 게이트웨이인 Router1 F0/0까지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Ethernet헤더 안에 있는 목적지 MAC 주소를 참조한다. 이때 목적지 MAC 주소는 Router1 F0/0 MAC 주소이다.
데이터를 수신한 Router1은 목적지 IP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검색한 이후, 데이터를 S0/0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데, 이때 Layer2 계층 헤더인 Ethernet이 HDLC로 변경된다. 그렇기 때문에 HDLC정보를 이용하여 Router1에서 Router2까지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MAC주소는 사용되지 않는다.
PC1 ARP테이블
PC>arp -a
Internet Address Physical Address Type
192.168.1.254 0090.2b01.7e2e dynamic
Switch MAC 주소 테이블
SW2#show mac-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 00d0.975d.0c14 DYNAMIC Fa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