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68)
-
스테이블 디퓨전 Webui 구글 코랩 설치하기
스테이블 디퓨전 Webui 구글 코랩 설치하기 (write date : 2023/09/19) 이글은 저자의 판단상 초보 개발자를 지향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궁금한 것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그래서 구글 기본 가입 및 기본적인 내용은 없을 수 있습니다. 다만, 댓글로 남겨주시면, 추후 관련 내용 링크를 참조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학습 목표 가. 스테이블 디퓨전이 무엇인지 간단히 이해하기 나. 스테이블 디퓨전 기본 이해 다. 스테이블 디퓨전 구글 코랩 설치해 보기 목차 1-1 스테이블 디퓨전 기본 이해 1-2 사전 환경 확인 1-3 스테이블 디퓨전 웹 사이트 방문 1-4 구글 코랩 설치하기 1-5 간단한 스테이블 디퓨전 사용해보기 이번 시간에는 스테이블 디퓨전 WEBUI를 구글에 설치해 보는 것..
2023.09.20 -
[정보] Perl 참조 사이트
CPAN 종합상점 http://search.cpan.org/ HTML과 PDF로 된 펄 문서가 있는 곳 http://perldoc.perl.org Perlfaq의 최신 버전 http://faq.perl.org CPAN http://www.cpan.org perlfaq의 최신 버전이 있는 사이트 http://faq.perl.org HTML과 PDF로 된 펄 문서가 있는 곳 http://perldoc.perl.org/ 펄뉴스 http://use.perl.org 블로그의 펄 http://planet.perl.org 펄 칼럼 저술가와 펄 책의 관련자들이 참가 http://www.perlmonks.org http://learn.perl.org 펄 몽거스(Perl mongers) http://www.pm.org
2012.01.28 -
나는 대칭키와 비대칭키의 좋은 점만을 이용한다. ^^ 하이브리드 암호
한 해가 저물어 가네요. 저는 2011년도 한해가 정말 빠르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한 것도 많지 않은 것 같은데요. --!!! 다음 한해도 저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열심히 살겠습니다. ^^ 오늘은 하이브리드 암호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죠. 자 그럼 여러분에게 제가 하이브리드 암호을 이용해서 인터넷을 이용해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라는 메세지를 보낸다고 가정하고 아래 그림을 보고 이해해 보세요. 보안상 암호화해서 보냅니다. ^^ 그림은 책을 보고 공부하면서 참조해서 그린 그림입니다. 하이브리드란 복합이란 뜻을 가지고 대칭키(공유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 방식)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처럼 공유키 암호 방식는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키를 공유하기에 만약 키..
2011.12.30 -
블럭 암호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대칭키)
블록 암호란? 기밀성 있는 정보를 정해진 블록 단위로 암호화 하는 대칭키 암호 시스템입니다. 만약 암호화하려는 정보가 블록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특정한 운용 모드가 사용됩니다.(ECB, CBC, OFB, CFB, CTR) 운용 모드는 나중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점 Block단위 암호화로 인해 기호를 삽입하거나 제거가 불가능하고 다양한 운영 방법에 의해 혼돈과 확산의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이 장점. 단점 블록 단위로 암호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문 비트들이 완전한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한 다음에 암호화 되므로 암호화 과정이 블록의 크기에 따라 지연된다. (암호화 시간이 느리다는 이야기죠.) 대칭키 방식의 블록 암호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그림을 통해 알아보죠. 그림 설명 t는 t번째라는 의미입..
2011.12.27 -
무선랜 802.11 프로토콜 구조
오늘은 무선랜 프로토콜의 구조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도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을 목적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세부적인 사항은 하나씩 나중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OSI 7계층은 웬만한 분들은 다 아시니 이 부분은 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 무선랜은 IEEE 802.11규격을 사용합니다. IEEE 802.11규격은 위와 같이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과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을 다루고 있습니다.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물리계층은 신호를 검출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죠. 앞으로 무선랜을 하게 되면 많이 등장하게 될 용어 일 것..
2011.12.22 -
안전하지만 속도가 느려터진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비대칭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Bob은 한 쌍의 키를 만듭니다. 그리고 Bob공개키를 어딘가에 공개하죠. 2단계, Jane은 Bob에게 암호화를 해서 문서를 보내고 싶습니다. Bob에게 보내려면 Bob의 공개키를 가지고 옵니다. 3단계, Jane은 Bob의 공개키로 암호화를 수행한 후, Bob에게 암호문을 송신합니다. 4단계, Bob은 자신만이 가진 개인키를 이용해서 받은 문서를 Bob의 개인키로 해독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죠. 누군가에게 암호문을 보내려면 누군가의 공개키가 필요합니다. ^^ 그리고 한 쌍의 키가 존재합니다. 개인키와 공개키 Jane과 같은 사람이 많아지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공개키를 n명만큼 늘리면 되겠죠. 그리고 한번의 송수신에서 개인키, 공개키 한번씩만 사용이..
2011.12.21